Web Analytics Made Easy - StatCounter
View My Stats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정말쉬워요

4진기 여행

반응형


2017년 1월 15일 부터 시작된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서버폭주로 페이지 

이동시간이 약간 길어졌죠?

오늘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절차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롭게 도입된 시스템인지는 모르겠지만 저얼굴 표정이 서버의 서비스 접속상태를 

확인해주는 지표입니다. 지금은 서비스가 아주 원활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왼쪽에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 공제자료 조회/발급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당연히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진행해야합니다.

국세청 홈택스의 보안 프로그램의 개수는 엄청나게 많지만 이미 한 두번 국세청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신 분이라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하고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로그인을 합니다.

 

 

내가 어떤자료를 제출해야할 지 파악을 해야합니다. 제출 유형별로 4가지 종류가

있으니 아래내용을 잘확인하고 조회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절차를 밟으시면 됩니다.

접속을 하자마자 위와 같은 팝업이 뜨는데 15일에 오픈 했지만 14일까지 제출한 

자료만 조회되기 때문에 15일 이후에 제출한 영수증은 

1월 20일 부터 제공할 것이라고 안내해주고 있습니다. 

만약 그사이에 큰돈을 쓸예정이거나 의료비를 낼 예정이라면 20일 이후의 자료를 

이용해서 연말정산을 진행하시면 되겠죠?

팝업창을 확인 후 본격적인 간소화 서비스 화면을 보시게 되는데

모든항목의 자료조회를 위해서 한번씩 클릭을 해줍니다. 

만약 부양가족이 있거나 미성년자 자녀가 있다면 미리 자료제공동의 및 미성년자녀 

자료조회 신청을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확인이 되셨으면 각 항목을 쭉 클릭합니다. 그럼 2016년도 12개월 동안의 

자료가 나오게 됩니다.

 

자료 조회를 다 마쳤다면 한번에 인쇄하기나 한번에 내려받기를 클릭해서 문서나 PDF 

파일로 남기면 됩니다.


일년동안 이것 저것 많은 곳에 지출하고있는데 돌려받는게 없다면 정말 슬픈일이겠죠? 

모두 세액공제증명서류 잘정리하셔서 13월의 월급 제대로 챙기시 바랍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